반려 동물 가구수 관련된 통계를 찾아보니 2023년 6월에 발간된 KB 국민은행 [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]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‘반려가구’는 2022년 말 기준 약 552만 가구로 추정된다고 한다.
공적기관에서 조사한 내용은 2020년 기준 조사 내용이 있는데, 통계청 조사 인구총조사 기준은2020년 기준으로 국내 2,092만 가구 중 312만 가구로 15% 정도 된다고 한다.
반면, 농식품부는 ‘2020 동물보호 국민의식조사’에서 반려동물 양육가구를 638만 가구로 제시했다.
각각 오차가 굉장히 큰 상황인데, 가장 근접한 것은 아무래도 통계청 조사일 것 같다. 농식품부는 5,000명을 표본으로 설문한 내용을 전체가구로 환산하다보니 생긴 오차로 보인다.
대략적으로 전체 가구의 20% 정도라고 생각하면 큰 문제는 없을 것 같다.
20%라고??
숫자로 봐서 감각이 없지만
우리는 그 엄청난 규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.
다섯 명이 모인다면 그 중 한 명은 반려동물이 있다는 뜻이다.
KB 국민은행 [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] 기준으로 몇 가지 데이터를 더 살펴보고자 한다.
반려가구의 월 평균 총 양육비는 건강 관리비를 제외하고 15만 4천원이라고 한다.
연간 계산하면 약 185만원이며, 552만 가구 기준으로 계산하면 10조 2천억 규모다.
통계청 기준인 312만 가구로 잡아도, 5조 7720억 규모가 나온다.
*비교를 위해 참고해 볼 시장규모들
2023년 건강기능식품 규모가 6조 2000억 정도로 추산된다고 한다. (출처 :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) 2023년 영화 산업의 극장 전체 매출액은 1조2,614억원이었다. (단순 입장권 매출) (출처: 영화진흥위원)
2022년 웹툰 산업의 총매출액은 1조8천290억원이라고 한다.
리포트에서 몇 가지 재미있는 포인트들만 짚어보고자 한다.
항상 돈이 되는 것은 pain point라는 것을 잊지 말자.
반려동물을 양육할 때 애로사항을 느끼는 부분이 무엇일까?